킬리만자로, 남쪽 하늘 일주
2010. 12. 8. 01:35ㆍ별, 그리고 사진 - 국외/킬리만자로에서 별을 보다
킬리만자로 산은 거의 적도에 위치하고 있어 남쪽을 바라보면 지평선 바로 위에 천구남극이 있다. 천구 북극에는 북극성이 있어 찾기 쉬운데, 천구 남극에는 밝은 별이 없어 남십자자리 등 주변의 별자리에서 찾아가야 한다.
남반구에서 보는 별들의 일주운동은 북반구에서와 반대이다. 북반구의 별들은 북극성을 중심으로 시계 반대 방향으로 움직이는데, 남반구에서는 천구 남극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돌아간다.
위 사진은 내셔널지오그래픽(National Geographic)에서도 소개되었다.
'별, 그리고 사진 - 국외 > 킬리만자로에서 별을 보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킬리만자로 등산로 - 초입은 밀림 지대 (0) | 2011.05.13 |
---|---|
킬리만자로의 표범 (5) | 2011.03.04 |
킬리만자로, 남쪽 하늘 일주 (16) | 2010.12.08 |
네버랜드 아프리카, 킬리만자로까지의 여정 (2) | 2010.12.08 |
킬리만자로, 꿈을 넘어 (13) | 2010.11.25 |
킬리만자로, 키보봉과 남반구의 은하수 (1) | 2010.11.24 |
한 9시간 찍은 거야?
11시간쯤 될걸.
정말 대단한 사진을 담아내셨네요..
저도 올해 12시간 도전하려고 준비단디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이거 디지털로 담으신거죠?..별색이 너무 잘담긴것 같아서..
필름이에요... 별 색깔은 필름이 더 유리합니다.
디지털일거라 믿어 버렸다는..
오두막으로 12시간은 무리겠죠?..
역시별색은 문제네요..
디지털이 오히려 더 편하지요. 결과를 확인하고 촬영하니까 실패에 대한 부담도 없고. 단지 이어 찍은 게 표가 나서 대형 인화를 못한다는 것이 단점입니다.
여쭙고 싶던 질문이었어요! 디지털이 편해도 여전히 필름 촬영 하고 계시는군요. 전 필름이 더 좋거든요. 필름이든 디지털이든, 남천 일주 정말 멋집니다!
일주는 필름이 진리...(일까... -.-;;)
혹시 저런 사진을 찍을라면 어떻게 해야되죠?
저런 타입을 찍는걸 뭐라고 하나요?
일주사진이라고 하구요.
삼각대 위에 카메라를 고정하고 셔터를 눌러두면 되어요. ^^;;
http://news.nationalgeographic.com/news/2010/12/photogalleries/101230-space-pictures-shuttle-moon-125/?source=link_fb20101230spacephotos
축하드려요, NG에 사진올라왔어요. ^^
감사. 안 알려주셨으면 본인도 모르는 NG...
혹시 일주사진을 찍을 때 카메라 렌즈가 광각인가요? 광각으로 찍으면 왜곡 현상이 일어나는 걸로 아는데요. 광각이 아닌, 왜곡이 없는 일반 렌즈로 찍어도 저런 사진을 담을 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그러니까 맨눈으로 봐도 별이 저렇게 정 원형으로 움직일까 하는 거지요.
위의사진은cg라는사람들이있네요ㅎㅎ지구평평교인ㅎㅎ
비밀댓글입니다
비밀댓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