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둔산에서 본 은하수엔 견우와 직녀가...
2010. 5. 25. 00:28ㆍ별. 그리고 사진/대한민국 구석구석
운해 위로 은하수가 흐른다. 여기 보이는 밝은 세 별이 여름철 별자리를 찾는 길잡이로 쓰이는 '여름철 대삼각형'이다. 가장 밝은 별이 직녀성 베가 (위쪽) 그 다음 밝은 별이 견우성 알타이르 (오른쪽 아래), 나머지 꼭지점을 이루는 별은 백조자리의 일등성 데네브(왼쪽 아래)이다.
별자리는 아래 그림을 보고 찾아보면 된다. 옛 사람들은 상상력이 참 좋았던 것 같다. 아무리 보아도 독수리나 백조로는 안보이는 별무리이다.
아래는 나머지 사진들.
'별. 그리고 사진 > 대한민국 구석구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 한 장의 사진 - 홍성 2007 (8) | 2011.03.12 |
---|---|
우리나라의 밤하늘 영상 (3) | 2011.03.06 |
대둔산에서 본 은하수엔 견우와 직녀가... (13) | 2010.05.25 |
운해 위로 은하수가 흐르던 밤 (13) | 2010.05.16 |
여름철 은하수와 겨울철 은하수 (1) | 2009.10.26 |
설악산 울산바위와 별 (9) | 2009.10.12 |
정말 꿈속 같습니다..서울에서 별을 담기로 작심했지만..
저도 이런 사진을 보면 산꼭대기 무작정 오르고 싶어집니다..
오른다고 다 담을수 있는 건 아니지만..ㅎㅎ
그 내공이 담긴 사진 잘보고 갑니다.
감사합니다.
점상 촬영을 할 때 어떤 필터를 사용하시는지요?
밝은 별을 강조하기 위하여 diffuse 필터를 사용하였습니다. 밝은 별이 크게 퍼져 보이는 사진들(첫번째 사진과 가로로 긴 파노라마 사진)이 그것입니다.
우와...
저 사진을 찍기 위해서 하셨을 노력을 감히 상상도 못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너무나 황홀한 사진을 감상했습니다. 와~~ 소리가 나도 모르게 나오네요 ^^
궁금한게 diffuse필터를 어떤 모델을 사용하는지 알고 싶습니다.
diffuse 필터는 개인 취향에 맞게 쓰시면 됩니다. 여러가지 종류가 있는데, 제 경우는 Kenko 사 것을 씁니다. A와 B가 있는데, 효과가 약한 A를 쓰고 있어요.
참고로 이 필터의 효과는 노출에 비례합니다. 아래와 같은 장비로 노출시간을 늘려야 효과가 큽니다.
http://www.stareshop.com/goods_detail.asp?goodsIdx=927
답변 감사드립니다.
그런데 적도의를 보니 별을따라가며 찍는거 같습니다.
그럼 적도의 사용시 부피사체(예를들어 나무, 바위등등)는 흔들려 있는것 처럼 찍히지 않습니까??
별은 밝은 점이기 때문에 배경보다 흐르는게 표가 많이 납니다. 별은 30초만 찍어도 흐른게 표가 난다면, 배경은 그 몇 배를 찍을 수 있습니다. 디퓨저 필터를 사용한다면 더욱 표가 안나겠지요.
아래 촬영 예들 참고하시구요.
http://www.astroarts.jp/photo-gallery/gallery.pl/obj?k=%E3%82%AA%E3%83%AB%E3%82%B4%E3%83%BC%E3%83%AB%E8%B5%A4%E9%81%93%E5%84%80
디퓨저 필터는 아래 사이트 가보시면 됩니다.
www.astrolife.co.kr
다시한번 답변 감사드립니다.
우선 필터준비해 찍어봐야 겠습니다.
와~~~~~~
너무 아름다워요 ^^
너무아름다운 밤입니다..
견우와 직녀가 만나 함께 밤을 맞이할 수 있다면...아!!! 얼마나 좋을까요
우리는 만나야한다 반드시 꼬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