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gital Photography(38)
-
타임랩스, HDR로 표현하는 세계 (월간 DCM 9월호)
타임랩스, HDR로 표현하는 세계 최근 영상 기기들의 색재현 범위가 점점 넓어지고 디지털 환경에서 색을 조정하는 것이 이전의 필름에서보다 훨씬 간편해지다보니 영화나 CF 뿐만 아니라 다큐멘터리, 드라마 등 많은 영상 분야에서 색을 주요 표현 수단으로 사용하는 일이 많아지고 있다. 색보정 작업을 통해서 보다 표현 의도에 맞는 색을 구사하는 것이다. 영상 바닥에서는 ‘색보정’이라는 어려운 용어를 쓰며 있는 척(?) 하지만 알고 보면 사진 바닥에서는 ‘뽀샵질’이라는 용어로 누구나 어느 정도는 구사하는 기술이기도 하다. HDR은 원래 사진이 가지는 색 표현의 범위를 훨씬 넓은 범위에서 가능하게 해준다. 계조 면에서, 분위기 면에서, 색조 면에서. 사람의 눈으로 보는 완전 자연스러운 느낌부터 초현실적인 분위기까지..
2013.11.05 -
오랜만의 스캔 작업 at 프린트 피델리티
마지막 스캔 작업을 언제 했었더라... 너무 오래 되어 이마콘 스캐너 전용 프로그램을 다룰 때 한참 동안이나 기억을 더듬어야 했다. 아직까지도 필름이 장시간의 일주 촬영에서는 디지털에 비해 월등하다. 끊어지지 않는 부드러운 별의 궤적과 진득한 색 표현이 슬라이드 필름을 이용한 일주사진의 맛. 10년 정도 전에 촬영한 필름인데, 마음에 안 들어 다시 찍어야지 하고 있는데, 계속 실패중. 15분 전에 들어갔어야 하는데. 실패! 현존 최고의 필름 스캐너 핫셀브라드 flextight X5 스캐너로 작업중. 프린트 피델리티는 국내 최고의 장비들을 갖추고 있는 프린트&스캔 샵이다. 원래 공덕동에 있었는데 얼마 전에 홍대 앞으로 이사왔다. 들어가다가 카페에 잘못 온 줄 알았다. 아래 사진은 공덕동 때 사진인데, 지금..
2013.10.26 -
타임랩스, 움직임을 담다 (월간 DCM 8월호)
타임랩스, 움직임을 담다.-권오철 / 천체사진가 www.AstroPhoto.kr 타임랩스Time-lapse는 최근 들어 광고, 다큐멘터리, 심지어 예능이나 드라마에서도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시간의 흐름을 압축해서 이른바 ‘쎈 그림’을 만들어서 시청자에게 강한 인상을 주기 때문이다. 시청률 약간의 오르락 내리락에 일희일비하는 입장에서는 저렴한 가격에 강한 인상을 만들어내는 타임랩스가 효자 컨텐츠일 것이다. 이렇게 널리 쓰이다 보니 눈이 점점 높아져서 카메라를 그냥 삼각대에 고정하고 촬영하는 것은 심심해져 버렸다. 클라이언트의 높아진 눈에 맞추어 주려면 비싼 장비를 추가해서 움직임을 만들어 넣어야 하게 되었다. 영상에 움직임을 주다 일반 영상 촬영에서는 유압 헤드를 이용해서 부드럽게 카메라를 돌리거나 슬라..
2013.09.23 -
타임랩스, 노을을 담다 (월간 DCM 7월호)
타임랩스, 노을을 담다 - 권오철 / 천체사진가 www.AstroPhoto.kr 이번 호의 주제는 고난이도 작업으로 불리는 노을 촬영이다. 낮에서 밤으로 넘어가는 시간, 즉 붉은 석양에서부터 붉은 빛과 푸른 빛이 공존하는 이른바 매직 아워를 지나 어두운 밤으로 넘어가는 변화를 기록하는 것이다. 이 촬영에서는 이제까지와는 달리 촬영 대상의 노출이 급격하게 변하기 때문에, 그에 따라 촬영 방법도 바뀌어야 한다. 낮에서 밤으로, 밤에서 낮으로 어떤 것을 촬영하든지 그 대상에 대해서 제대로 아는 것이 중요하다. 스포츠 경기를 촬영하려면 경기의 룰을 잘 알아야 할 것이고, 새 사진을 찍으려면 그 새의 생태에도 밝아야 한다. 풍경사진이나 타임랩스도 마찬가지다. 낮에서 밤으로 넘어가는 아름다운 순간의 변화를 포착하려..
2013.08.20 -
Vimeo vs Youtube - 동영상을 보여주기 위한 여러가지 방법
영상 작업을 보여주는 방법에는 여러가지가 있다. TV나 극장에서 상영되기도 하지만, 일반적으로 가장 널리 쓰이는 것은 인터넷이다. 인터넷에 영상을 보여주기 위해서는 고용량의 영상 파일을 올려두고 스트리밍 서비스를 해야 하는데, 대표적인 곳이 www.Vimeo.com과 www.Youtube.com이다. 영상을 좀 한다는 사람들은 대개 Vimeo를 이용한다. Google이 운영하고, 무료로 FullHD를 지원하고, 보는 사람이 많으면 돈까지 받을 수 있는 Youtube를 놔두고 Vimeo를 선택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이유는 단 한가지 화질이다. Youtube나 Vimeo의 경우 사용자가 올린 영상 파일 그대로 보여지는 것이 아니다. 각기 그들의 표준에 따라 최적화된 포맷으로 변환하여 저장한다. 이때 당연히 ..
2013.08.11 -
타임랩스, 구름을 담다 (월간 DCM 6월호)
타임랩스, 구름을 담다- 권오철 / 천체사진가 이번 이야기는 타임랩스로 구름을 담는 촬영법에 대한 것이다. 구름을 미속으로 돌리는 것은 이미 많이 쓰이고 있다. 하지만 낮에 촬영하는 것이 밤에 촬영하는 것보다 쉬워 보이지만 제대로 된 결과물을 얻기 위해서는 기술적으로 더 어려운 문제들을 해결해야 한다. 준비 과정에서의 약간의 차이가 최종 결과물 영상의 현격한 차이를 가져온다. 백두산 천지의 구름. 산꼭대기의 구름은 바람을 타고 매우 빠르게 움직인다. 1초 간격으로 촬영했다. 왜 타임랩스로 촬영할까? 타임랩스, time-lapse를 사전에서 찾아보면 ‘사진촬영에서 저속 촬영의’라고 정의되어 있다. 저속으로 찍어서 정상 속도로 재생하니 촬영 대상이 빨리 움직이게 되는 것이다. 왜 굳이 타임랩스로 촬영해야 할..
2013.07.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