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년12월10일, 보름달이 뜨는 밤, 달이 지구 그림자에 들어가는 개기월식을 볼 수 있다.
저녁 20시 31분 전후에 반영식이 시작되지만, 반영식의 경우 눈으로는 볼 수 없고, 사진으로 찍어도 구분이 어려우므로 실제적으로 달이 가려지는 것을 볼 수 있는 것은 21시 45분부터이다.
23시 05분부터 23시 58분까지 약 1시간 정도는 달이 지구 그림자 속으로 완전히 들어가는 개기식이 일어나는데, 이때에는 지구 대기를 통과하여 굴절된 빛에 의해서 희미한 붉은 빛의 달을 볼 수 있다.
부분식의 종료는 01시 18분 정도이다. 지역마다 시간은 몇 분씩 차이가 있다.
저녁 20시 31분 전후에 반영식이 시작되지만, 반영식의 경우 눈으로는 볼 수 없고, 사진으로 찍어도 구분이 어려우므로 실제적으로 달이 가려지는 것을 볼 수 있는 것은 21시 45분부터이다.
23시 05분부터 23시 58분까지 약 1시간 정도는 달이 지구 그림자 속으로 완전히 들어가는 개기식이 일어나는데, 이때에는 지구 대기를 통과하여 굴절된 빛에 의해서 희미한 붉은 빛의 달을 볼 수 있다.
부분식의 종료는 01시 18분 정도이다. 지역마다 시간은 몇 분씩 차이가 있다.
'별별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주에서 본 한반도 - 천체사진이 어려운 이유 (6) | 2012.03.28 |
---|---|
인생을 바꾼 책 - 재미있는 별자리 여행/이태형 저 (9) | 2012.01.26 |
개기월식, 2011.12.10. (4) | 2011.12.04 |
허블3D, 감동의 눈물이 (9) | 2011.05.10 |
비틀쥬스와 베텔기우스 (4) | 2011.01.30 |
구글이 알려주는 윤동주 탄생 93주년 (0) | 2010.12.31 |
TAG 개기월식
댓글을 달아 주세요
starlet 2011.12.08 14:47 댓글주소 수정/삭제 댓글쓰기
어디서 촬영하실지 궁금하군요.
이것저것 준비는 한답시고, 바디도 더 빌려오고 했는데,
무엇보다도 날씨가 문제네요.
좋은 관측/결과물 나오길 바랍니다.
구름 사진 보니 저도 모르겠군요. -.-;;
이민규 2011.12.13 00:40 댓글주소 수정/삭제 댓글쓰기
구름 엄청나게 끼길래 카메라 접고 철수하고 있는데
개기식 직전에 하늘이 뻥 뚫리더군요;;;
덕분에 길가 한복판에서 삼각대를 폈습니다
개기식 찍은건 기분 좋네요 ㅎ
저는 대전에 있었는데 구름에 가려서 제대로 못봤네요.